즐겨찾기에 추가

해외건설협회
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
국토교통ODA사업지원
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
중소기업수주지원센터
해외건설인재정보
해외건설e정보시스템
해외건설사이버박물관
국토교통부
외교부

컨텐츠내용

Home 별관 역경스토리

역경스토리

[한진중공업] 중동 건설시장 진출의 선두주자

등록일 : 2015/06/02

한진중공업은 1973년 들어 또 다른 해외시장 개척에 나섰다. 이 무렵 해외건설 경기가 중동 산유국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판단 아래 1973년 초 국내 업체로서는 최초로 사우디아라비아에 진출한 것이다. 세계 최대의 석유 수출국이었던 사우디아라비아는 1970년부터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시행에 들어가 교통?통신망 등 공공시설 건설공사가 급증하고 있었다. 한진중공업은 현지의 알토키(ALTORKI)사와 합작하여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197310 3일에 교통체신성이 발주하는 87km의 움라지~알와즈간 도로공사의 국제입찰에 참가하여 1,365 3,000달러로 낙찰에 성공하였다. 특히 이 공사의 계약은 국내 건설업체들이 중동으로 눈을 돌리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. 움라지~알와즈간 도로공사는 아라비아반도의 서쪽 홍해 암벽의 해변에 87km 2차선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공사로 준공 이후 그 당시 사우디아라비아의 도로 중 가장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현지에 ‘한진중공업’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.

이렇게 중동 지역에서 첫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으나 추가 수주가 없어 철수와 재도전의 선택에 직면해 있던 중 1977 4월 얀부 시멘트공장 부지의 진입로 공사 계약을 체결하였다. 또한 이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친 1977년 겨울, 중동에 진출한 다른 나라의 건설업체들이 하나 둘씩 철수하던 시기에 사우디아라비아 왕궁 영빈관 시설공사, 타이프 공군기지 시설공사, 카이바~타북간 도로공사 등을 잇달아 수주하는 쾌거를 이루었다. 이 중 미 육군공병단으로부터 수주한 왕궁영빈관 공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굳힌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. 이 공사를 통해 우수한 기술에 의한 철저한 품질 및 공정관리로 회사는 1979 10 15일 미 육군공병단으로부터 우수준공 표창을 받았고, 그 이전인 1 23일에는 50만 시간 무사고 표창을 받으면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주되는 미 육군공병단 공사에 대한 사전 입찰자격도 획득하였다.

한편 타이프 공군기지 시설공사는 회사 설립 후 수주한 해외공사 중 최대 규모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 국내 건설업체가 수주한 건축공사 중에서도 최대 규모의 공사였다. 공사 수주액 3 2,696만 달러도 1977년 우리나라 해외공사 수주액 35억 달러의 9%에 이르는 금액이었다. 한편 회사는 타이프 공군기지 시설공사를 수주하는 과정에서 6,000여만 달러 상당의 카이바~타북간 도로공사를 수의 계약하는 또 하나의 개가를 올리면서 중동 지역에서만 총 4 6,300만 달러의 대형 공사를 수주해 1979년에는 창립 이래 최초로 매출액 1,000억 원대 돌파를 눈앞에 두게 되었다. 그리고 1981 2 25, 최대 규모의 타이프 공군기지 시설공사를 성공리에 완공함으로써 발주처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방성과 감리회사, 원청사인 발 라스트 네담 그룹 등으로부터 공기 내에 양질의 공사를 완료했다는 평가를 받았다. 특히 공기 내 준공으로 재무구조를 크게 개선하였고, 견적, 입찰, 설계, 시공, 사후관리 등 전반적인 기술력도 크게 향상시켰다.

이라크 진출

<얀부 시멘트 공장 토목공사

우리나라의 이라크 건설수주는 1977년 첫 진출 후 1981년에 본격화되었다. 특히 1981년에는 한진중공업을 비롯한 8개 업체가 총 19 4,630만 달러의 수주기록을 세워 사우디아라비아, 리비아에 이어 해외건설시장 실적 3위로 부상하였다.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독일 KHD사의 하청으로 얀부 시멘트공장 토목 및 철구조물 공사를 1980 12월 성공리에 시공하여 호평을 받은 한진중공업은 1981 2 KHD사로부터 이라크 사마와 시멘트공장 건설공사에 참여해달라는 제의를 받았다. 새로운 시장 개척의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수익 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KHD사와 계약하였다. 이는 한진중공업이 이라크에서 수주한 최초의 공사로, 이 공사는 아직도 이라크 진출의 시금석으로 남아있다.